분류 전체보기814 [내부장치] X1100-5A3 기동장비 X1100-5A3 (Automatic Transmission) 미국의 M-1 전차에 사용된 X1100-3B의 디젤엔진은 엔진은 STX에서 제작하고 있으며 트랜스미션은 미국의 엘리슨사제 X1100-5A3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출력중량비는 톤당 21마력으로 K-1 전차와 비슷한 출력을 보이며 육군이 보유한 자주포 중 최고의 기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련 글: K9 자주포 2022.11.18 - [Military 덕후가 되는 지름길/화력체계] - [자주포] 한국 K9 자주포 X1100-5A3은 군용 및 중장비 궤도 차량에 사용되는 앨리슨의 군용 전자동 변속기 시리즈로 험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입니다. Feature Input Drive : Torque Converter with Automati.. 2022. 11. 25. [전투기] 러시아 Su-75 체크메이트(단발 경량 전술 전투기) 수호이 Su-75 (러시아어: Сухой Су-75, 코드명: Checkmate) 2021 MAKS 에어쇼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Su-75의 고정모형이 공개되었습니다. Su-75의 첫 비행은 2023년에 처음 계획되었고 그 후 2024년으로 넘어갔으며, 초기 배송은 2026년에서 2027년 사이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레이더는 AESA 레이더를 장착하고, 최대 속도는 마하 1.8, 전투 행동반경은 1,500km입니다. 관련 글: AESA 레이더 2022.08.11 - [정보체계] - [레이다] AESA - 항공기용 능동위상배열 사격통제 레이다 이 항공기의 차석 설계사 알렉세이 불라토프의 발표에 따르면, 엔진 추력은 14.5~16t이며, 장시간 초음속 비행이 가능한 일명 기능이 .. 2022. 11. 25. [기동헬기] [수리온] KUH-1, KUH-1M, MUH-1, KUH-1E 기동헬기 수리온 KUH-1 "국내 최초의 기동헬기 수리온, 세계적 헬기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2006년 시작된 한국형 헬기개발사업(Korean Helicopter Program, KHP)은 군이 장기운용중인 노후화된 UH-1H와 500 MD를 대체하기 위해 시작이 되었습니다. 수리온(Korean Utility Helicopter, KUH)은 한국형 헬리콥터 사업(Korean Helicopter Program, KHP)중 기동헬기(KUH) 부문으로 2만 파운드급 중형헬기이다. 또한 수리온은 수리(하늘의 제왕으로 불리는 독수리의 용맹함과 빠른 기동성이란 의미)와 숫자 100을 뜻하는 우리 고유어인 온의 합성어이다. 수리온의 크기는 UH-1H와 UH-60헬기의 중간 정도로 1개 분대의 중무장 병력이 탑승해 .. 2022. 11. 25. [훈련기] KT-1 기본훈련기 KT-1 기본훈련기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에 성공하고, 국산 항공기 수출시대를 열었습니다. KT-1 기본훈련기는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항공기로 공격능력을 겸비한 KA-1 공중통제기와 더불어 대한민국 공군에서 운용되고 있습니다. 뛰어난 스핀회복 능력과 더불어 높은 연료 소비율로 학생조종사의 비행훈련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대한민국 공군의 실전 운용을 통해 탁월한 훈련효과를 입증하였습니다. KT-1 계열 항공기는 인도네시아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항공기 수출시대를 개막하였으며, 터키·페루·세네갈 등 총 4개국에 수출되어 세계적으로 우수한 항공기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주요특징 🟧 주요 제원 최대속도: 350 노트 (kts) 최대이륙중량: 6,120 파운드 (lbs) 엔진추력: 950 마력 (shp) 탑승인원.. 2022. 11. 25. [전투기] 미국 F-35 Lightning II F-35 Lightning II (Lockheed Martin) F-35 Lightning II, 미국의 5세대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로 명칭의 유래는 미국의 P-38 라이트닝과 공동개발국인 영국의 BAC 라이트닝으로서, 이 두 기종 모두를 계승하겠다는 의미에서 Lightning II가 되었습니다. 미국 록히드마틴사가 개발한 초음속 스텔스 수직이착륙 전투기로, 이·착륙방식과 사용 분야에 따라 A형, B형, C형으로 나뉜다. 우리 정부는 2014년 3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총 사업비 7조 4000억 원을 투입해 차기 공군 주력 전투기로 록히드마틴의 F-35A 40대를 구매하기로 결정했으며, 이에 따라 2021년까지 총 40대의 F-35A가 국내에 도입·배치됩니다. VLO Stealth With stealt.. 2022. 11. 25. [함포] 한국 노봉 40mm 쌍열 함포 노봉 40mm 쌍열 함포 노봉은 대미사일, 대항공기, 함대함 기능을 다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대한민국 독자 개발 쌍열함포입니다. 🟦 주요 기능 다목적 운용 가능 (대공, 대미사일, 함대함) 총 768발의 준비탄을 보유하여 재급탄 없이 수회의 교전 가능 함정의 사격통제장비에 의한 완벽한 원격 조종 및 자동 운용성 자기진단기능을 갖춘 내장형 고장진단장치를 이용한 정비성 극대화 동급의 타 장비에 비해 우수한 정밀도와 신뢰도 이중 송탄기능(선택사양) : 704발 용량의 급탄 장치에 이중의 탄약을 선별·급탄하여 표적에 따른 최적의 탄약 사용으로 함정의 생존성 향상 🟩 Specification 발사속도 2X300발/분 사격범위 방위각 360˚ / 고각 -13˚ to +85˚ 장전방식 기계식 자동 출처: 한화디펜스 2022. 11. 25. [대공화기] 한국 육군/해군 발칸 한국 육군/해군 발칸 1. 육군용 발칸 육군용 발칸은 차량 이동 및 설치 운용이 간편한 20mm 견인식 방공포로, 저고도 대공방어와 지상화력 지원에 탁월한 장비입니다. 1.1 주요 사양 사격통제장치를 통한 사격제원계산 수행 조준기, 야간조준기, 망원조준기 등으로 구성된 조준장치로 표적을 조준사격 가능 다양한 전장환경에서 이동 및 설치운용이 간편함 대공방어 뿐만 아니라 지상표적에 대해서도 강력한 화력지원 가능 X-Band 주파수를 사용하는 레이더 세트로 송수신기 및 안테나로 구성 도플러 원리를 이용한 레이더 세트를 통해 이동하는 표적 포착 가능 1.2 스펙 발사속도 3000발/분 사격범위 고각 -5도 ~ 80도 2. 해군용 발칸 해군용 발칸은 중소형 함정에 탑재되는 20mm 함정용 발칸포로, 함정의 표적탐.. 2022. 11. 25. [유도무기] 범상어 - 수중유도무기 범상어 : 고속 추진과 탐지 및 고정밀 항법유도조종 등이 집적된 고성능 수중유도무기 고속 추진과 탐지 및 고정밀 항법유도조종등이 집적된 고성능 수중유도무기 중어뢰-II 체계는 장보고-II/III급 잠수함에 탑재하여 적 수상함 및 잠수함을 공격하는 수중 유도무기체계이며, 잠수함의 전투체계와 연동하여 운용된다. 중어뢰-II는 KSS-II 잠수함의 모든 발사관에서 자영식으로 발사되고, KSS-III 잠수함의 모든 발사관에서 강제사출식으로 발사되어 운용되며, 어뢰의 정보는 유도선을 통하여 송수신하고 전투체계에 전시할 수 있다. 🟦 주요특징 Sound Detection: 능동/수동/복합 음향 탐지 기능 Detection: 기포항적 탐지 기능 Guidance: 기만회피 및 정밀탐지 추적을 위한 유선(광섬유) 유도 .. 2022. 11. 25. [기만기] 자항식기만기 자항식기만기 : 수중을 어뢰처럼 주행, 기만신호를 발생시켜 아함을 모사하는 자항식기만기는 기존 어뢰음향대항체계(TACM)에서 운용되는 부유식기만기와 복합 운용해 어뢰 기만능력 극대화 아군 함정의 생존성 햠상을 위해 어뢰처럼 주행하며 기만신호를 발생시키는 무기체계 울산-I급/장보고-II급 이상의 수상함 및 잠수함에 탑재, 운용중인 부유식기만기와 병행해 고도 정밀 음향호밍어뢰에 대한 기만장비로 운용됩니다. 2013년 업체주관으로 체계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99% 수준의 국산화율을 자랑합니다. 발사대를 통해 사출돼 내부 전지 작동에 의해 내장된 기만 로직에 따라 수중을 00노트 이상의 속도로 기동하며 기만신호를 발생시켜 적 어뢰를 유인해 아군 함정이 안전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요특징 Stabl.. 2022. 11. 25. 기관투자가 연기금이란? 연기금이란? : 연금을 지급하는 원천이 되는 기금으로 연금(pension)과 기금(fund)을 합친 말로 '연금기금(年金基金)'이라고도 한다. 즉 연금제도에 의해 모여진 자금을 뜻한다. 연금이란 노후의 소득 보장을 위해 근로 기간에 기여금을 내고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급여를 받는 제도이고, 기금이란 특정 공공사업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정부가 조성하는 자금을 말한다. 연기금은 가입이 강제적이고 급여 조건과 수준이 법률로 정해져 있다는 점에서 사회보험의 형태를 띤다. 또 자금의 성격상 장기 투자가 필요할 뿐 아니라 거액의 자금을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증권시장에서 대표적인 기관투자가의 하나로서 시장의 지지세력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연기금의 30∼50%를 주식투자에 사용해 장기적인 기금 증식에.. 2022. 11. 25. [주식용어] PER / PBR / EPS / BPS 용어 정리 1.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 가를 나타내는 지표. 주가를 1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입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PER이 업종별 평균 PER보다 높으면, - 주당순이익은 평균 수준이지만 주가가 높은 경우 현재 이익보다 주가가 높다는 뜻으로 시장에서 장래성을 인정받고 상장하는 기업의 경우가 해당됩니다. - 주가는 평균수준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낮은 경우 경영에서 이익(주당순이익)이 낮기 때문에 PER이 높아진 경우입니다. PER이 업종별 평균 PER보나 낮으면, - 주당순이익은 평균수준이지만 주가가 낮은 경우 모기업 부도 등 외부요인이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 주가는 평균수준이지만 주당순이익이 높은.. 2022. 11. 24. [주식용어] 유증, 무증, 감자, 권리락 등 주식 초보여서 용어 정리하고 갑니다. 🟦 용어 정리 시가총액: 현재 '시장'에서 평가되는 기업의 가치 자본금: 회사의 '밑천'으로 사용할 수 없는 돈 유증(유상증자) : 돈을 받고 추가적으로 주식을 더 발행해 파는 것 무증(무상증자):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전입, 무료로 기존 주주들에게 새롭게 주식을 나눠주는 것 배당금: 주식을 보유함에 따라 이자처럼 받는 것 권리락: 유증이나 무증, 주식배당 등이 있을 때 새롭게 추가되는 주식의 비율에 맞춰 기존 주식의 가격을 낮추는 과정 감자(감축자본): 회사의 사용할 수 없는 자본금을 빼서 사용하는 것 배당: 주주환원의 일원으로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기업의 이익을 나눠주는 일. 특정일에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만 배당 지급. 배당락: 배당을 받을 권리가 소멸되었을.. 2022. 11. 24. 이전 1 ··· 47 48 49 50 51 52 53 ··· 68 다음 728x90